유통뉴스

농수축산물 유통에 대한 새 소식을 전합니다.

제목 진단-쌀산업 및 재고미 문제 해법은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04-12-22 조회수 2574
<P>&nbsp;</P><P>&nbsp;</P><P>쌀 협상이 올해 말로 종결돼야 하는 시한 속에서 각국과의 협상이 마지막 단계에 이르고 있다. 정부는 쌀협상의 결과와 관계없이 우리 쌀산업의 유지·발전과 최소한의 주곡자급기반을 유지할 수 있는 정책적 수단을 강구해야 할 시점이다.</P><P><BR><BR>현재 양정(糧政)이 당면하고 있는 현안과제는 수확기의 쌀값 안정과 재고물량의 시장격리다.당면한 우리나라의 쌀산업 및 재고미 문제를 짚어본다.</P><P align=center><BR><BR><BR><STRONG>재고미 처리 큰 골칫거리</STRONG></P><P>&nbsp;</P><P><BR><BR>지난 UR 쌀협상에서 우리나라는 쌀협상 이행기간(95∼2004년)동안 관세화유예를 받는 대신 최소시장접근물량(MMA)을 5%의 양허관세를 통해 국내소비량의 1%에서 2004년까지 4%까지 의무수입물량을 확대키로 했다.</P><P><BR><BR>협정기간이 만료되는 올해이후의 쌀 시장의 개방문제는 관세화에 의한 개방을 할 것인지 아니면 관세화유예의 조건으로 (MMA) 방식에 의한 쌀 수입물량을 확대할 것인지 하는 문제다.</P><P>&nbsp;<BR><BR>지난 UR협상에서와 같이 우리정부가 관세화유예를 선택할 경우 양허관세 5%에 의한 MMA 수입물량은 8% 안팎까지 늘려야 하는 협상이 진행 중이다. 8%에서 협상을 허용할 경우 매년 41만톤, 약 300만석의 값싼 수입쌀이 들어와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P><P><BR><BR>95년 UR협정 발효 이후 매년 의무수입물량이 늘어나면서 지난해 기준 수입쌀 재고량이 270만석을 넘어서고 있고 올 MMA 물량이 들어올 경우 수입쌀 재고량이 약 360만석이 이를 전망이다. </P><P><BR><BR>이에 따라 전체 쌀재고에 수입쌀이 차지하는 비중도 98년 7.1%에서 99년 9.6%, 2000년 13.7%, 2001년 14.8%, 2002년 18.9%, 2003년 36.0%, 2004년에는 45%를 차지해 수입쌀 재고 관리에만 연간 1500억원의 재정이 필요하며, 수입쌀 재고미와 정부 재고미를 합할 경우 연간 재고 관리비용만 4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P><P><BR><BR>이뿐 아니라 과잉재고 물량을 해외원조용으로 사용할 경우 100만석당 4천억원 이상이 소요돼 재고미 처리문제가 우리농정에서 가장 큰 부담으로 대두되고 있다.</P><P><BR><BR>최소시장 접근물량(MMA) 늘어나면서 앞으로 국내 쌀 재고물량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P><P><BR>수급조절을 통한 국내 쌀시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재고미에 대한 특별 처분이 과감히 이뤄 져야 한다.</P><P><BR><BR>현재의 공급과잉상태인 수급상황과 정부수매기능의 축소, 그리고 예정돼있는 시장개방폭 확대 등 국내 쌀산업의 여건변화를 감안할 경우 쌀의 공급 과잉문제는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구조적인 문제로 고착될 가능성이 높다.<BR>이처럼 재고미 증가는 쌀 농가의 쌀값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고 쌀값 하락은 쌀 생산기반 자체를 더욱 위축시킬 것으로 보인다.</P><P><BR><BR>국내 쌀 소비량을 감안할 경우 진행중인 쌀 협상에서 관세화유예를 통해 8% 안팎의 MMA 수입량을 증량할 경우 국내 쌀산업은 현재보다 10%이상 위축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P><P><BR>지난 UR 협상에 의한 시장개방이후 국내 쌀 재고문제는 매년 제기돼 왔지만 쌀 재배면적과 생산량 감소율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P><P><BR><BR>지난 10년간 다른 곡물의 경우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평균 8.5% 줄어들었지만 쌀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연평균 1.4%와 0.6% 감소에 그치고 있다. 이처럼 쌀 재배면적이 줄지 않고 있는 것은 쌀산업을 대체할 수 있는 소득작물이 없다는 것이다.</P><P><BR>최근 정부시안으로 마련한 쌀 목표가격 설정은 쌀 편중적인 식량정책과 쌀산업 구조개선정책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P><P><BR><BR>쌀 목표가격 설정은 농업의 구조조정과 민간유통기능을 크게 위축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도 제기되고있다. 물론 수매제 폐지문제 등 정부의 역할 감소에 따른 공백을 메워나갈 수 있는 대안은 될 수 있지만, 위기에 처해있는 쌀 산업의 유지를 위한 정책적 수단은 될 수 없다는 것이다.</P><P><BR><BR>따라서 정부가 지금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한 과제는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과잉재고 물량의 시장격리와 함께 쌀값의 계절진폭을 유도, 민간유통기능을 활성화할 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P><P>&nbsp;</P><P>&nbsp;</P><P>&nbsp;</P><P>&nbsp;</P><P>&nbsp;</P><P>&nbsp;</P><P align=right>출처 : 농업인신문 2004. 12. 10.</P><P>&nbsp;</P>
공공누리제2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일 조회수
780

가락시장 만족도 출하주 하락, 소비자 상승

2,309
779

소비자 72% “축산물 안전문제 심각”

2,045
778

2005년 상반기 수산물 물가동향

2,275
777

일본, 한국산 닭고기 수입금지

2,331
776

학교급식 ‘우리농산물 규정’ 허술

2,217
775

유통업체ㆍ벤더, 산지구매 횡포

2,469
774

감귤값 강세 계속된다

2,041
773

“수입쌀 안먹겠다” 54.6% “값싸면 사먹겠다” 45.4%

2,129
772

한우 1등급육 출현율 40% 육박

2,379
771

진단-쌀산업 및 재고미 문제 해법은

2,574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