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1.JPG
채소류 파프리카

피망과 혼동하기 쉬운 파프리카는 피망보다 단맛이 강하고 과육이 많게 개량한 채소다. 아삭거리는 식감에 달콤한 맛과 형형색색의 색깔이 특징이며, 비타민 함유량이 많아 항암 효과와 피로 해소에 효과적이다.

구분 내용
외국어 표기 paprika(네덜란드어), sweet pepper/bell pepper(영어)
학명 Capsicum annuum L
분류 과채류
향미 조금 매운맛의 과일향
원산지 중앙아메리카
주요 생산지 - 겨울작형 : 경남 진주/함안, 전남 화순/영광, 전북 김제 등 평지 지역
- 여름작형 : 강원 평창/화천, 경남 합천, 전북 남원 등 고랭지 지역
유사재료 피망
특징 식욕을 자극하는 선명한 색이 아름다운 파프리카는 영양이 매우 풍부한 식재료로, 색깔별로 영양과 효능도 달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피망에 단맛을 더하고 과육이 많도록 개량한 파프리카는 서양에서는 Sweet Pepper라고 해 피망과 동일한 품목으로 인식하기도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색깔과 과육의 두께 차이가 다르다고 인식해 피망과를 구분해 취급하고 있다.
종류
(구분, 품종)
빨강 파프리카, 주황 파프리카, 노랑 파프리카, 초록 파프리카
효능 및 영양성분 칼슘과 인이 풍부해 성장기 어린이들과 성인들의 골다공증 예방에 좋다. 비타민 C 함유량이 많아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며, 풍부한 베타카로틴은 항암효과와 더불어 성인병과 노화를 예방해준다.
열량 100g당 23kcal (빨간색), 31kcal (주황색), 24kcal (노란색), 16kcal (초록색)
음식궁합 육류와 함께 기름에 볶아 섭취하면 육류의 산성을 중화시켜 주며, 기름이 파프리카에 함유된 비타민 A 성분의 흡수를 도와준다.
활용 생으로도 먹지만, 가볍게 볶아 샐러드나 볶음류에 활용하기도 한다.
고르는법 꼭지가 선명한 색을 띠고, 표피가 두껍고 광택이 나며, 과육이 단단해야 신선한 것이다.
손질법 맑은 물에 씻어 불순물과 먼지 등을 제거한 뒤 씨를 제거하여 사용한다.
보관법 랩으로 개별 포장해 냉장 보관한다.

 

주요 재배품종

- 일본에서는 과중 150~170g의 블라키형을 선호함

- 색상별 비율은 적색 60%, 황색 20%, 오렌지색 10%, 기타 10%의 비율로 유통되고 있음

-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착색단고추는 적색 품종의 재배가 가장 많고 황색, 오렌지색 순으로 재배되고 있음

- 품종은 일본시장을 목표로 육종된 네덜란드산 품종이 거의 대부분 재배되고 있음

※ 출처 : 농촌진흥청, 진주시농업기술센터, ㈜코파

생육 특성

국내 주분포지

- 강원 철원, 경남 진주, 전남 강진 등 일원

특성

- 식물체는 2m 이상 자랄 수 있고, 가지가 적게 갈라지며, 잎은 7~12cm, 꽃자루의 길이는 2.5cm임
- 열매는 짧은 타원형으로 꼭대기가 납작하고 크며, 바닥은 오목하고 세로로 골이 져 있음
- 일조량이 풍부하고 기온이 따뜻한 지역에서 잘 재배됨

※ 출처 : 농촌진흥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경기도농업기술원

파프리카란?

- 선명한 색에 다양한 영양소를 가진 파프리카는 특히 비타민이 풍부해 피부에 좋으며, 색깔별로도 영양과 효능이 다른 것이 특징이다.

- 파프리카와 피망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파프리카는 피망에 단맛을 더하고 과육이 많도록 개량한 것으로, 서양에서는 Sweet Pepper라고 해 피망과 동일한 품목으로 인식하기도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색깔과 과육의 두께가 다르기 때문에 구분해서 취급하고 있다.

- 피망과 파프리카의 구분이 정확하지 않아 1994년 한국원예학회에서는 두 종류 모두 ‘단고추’로 분류하였다.

- 유럽에서 현재 이용되고 있는 착색단고추는 색깔, 형태, 크기 등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 우리나라의 착색단고추는 색소 함량이 높은 벨 타입 고추의 완숙과실을 수확하여 신선채소로 이용된다.

- 파프리카는 초록색에서 시작해 재배 기간에 따라 색이 달라지며, 완전하게 성숙하면 빨간색이 된다.

- 국내에서는 초록색, 노란색, 주황색, 빨간색이 대부분이지만 유럽에서는 초록, 노랑, 자주, 검정, 주황, 빨강, 흰색 등 8~12가지의 다양한 품종이 생산 및 유통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재배 초기 고품질의 파프리카 생산으로 가격이 높고 또 대부분 수출용으로 활용되다 보니 국내에서의 소비 기회가 적었으나, 최근에는 수요 및 생산량 증가로 과거보다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 대부분 과중 150~220g의 블로키 유형이며 매운맛이 거의 없다.

- 최근에는 과중 30~40g이고 일자형 모양의 미니 착색단고추 품종도 보급되고 있다.

- 주로 소스나 조미료를 만드는 데 사용하며, 각종 요리의 주재료나 부재료로 다양하게 활용된다.

 

 

파프리카 피망

 

피망과 파프리카의 차이점

※ 출처 : 농촌진흥청, 진주시농업기술센터, ㈜코파

 

파프리카 종류

종류 파프리카 피망
레드킹 골드킹 오렌지킹 그린벨
사진
특징 - 평균과중: 약 150g
- 적색을 띄며, 대사자형
- 풍산다수확종
- 완숙과 출하 시 단맛이 있어 샐러드 요리 등에 적합함
- 평균과중: 약 150g
- 노란색을 띄며, 완숙 전의 녹색 상태에서 출하가 가능함
- 풍산다수확종
- 단맛이 강하며 샐러드, 피자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됨
- 평균과중: 약 200g
- 오렌지색을 띄며, 사자형 모양으로 모양과 맛이 뛰어남
- 풍산다수확종
- 당도가 높아 맛이 좋으며, 여러 요리에 사용됨
- 평균과중: 약 40g
- 녹색이며, 광택이 있음
- 다수확 품종으로 시장성이 높음

※ 출처 : ㈜세종종묘,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농산

 

피망과 파프리카의 구분

- 피망(청피망,홍피망)은 끝이 뽀쪽하고 식감이 질긴 편임.

- 파프리카(빨강,주황,노랑)는 끝이 뭉퉁하고 식감이 질기지 않으며 아삭아삭함

※ 출처 : 농촌진흥청

주요 품종

 

단고추 분류

 

작형별 출하시기

작형 파종기 정식기 수확기
겨울재배 7월 중순 ~ 7월 하순 8월 중순 ~ 9월 상순 11월 상순 ~ 7월 상순
여름재배 2월 중순 ~ 3월 하순 3월 하순 ~ 4월 중순 6월 상순 ~ 6월 하순

※ 출처 : 농촌진흥청, 진주시농업기술센터, ㈜코파

 

파프리카 특징

- 파프리카는 색깔에 따라 주로 3종류로 나뉘며, 볼기 개수가 4개면 여자, 3개면 남자로 나뉨

- 여자 파프리카는 속에 든 씨가 많지만 당도가 높아서 날로 먹거나 샐러드 등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남자 파프리카는 단맛은 적으나, 잡맛이 없고 깔끔해서 볶음 등의 요리에 사용하는 것이 좋음

 

품목별 도매가격

이용안내

도매시장 중도매인 상회에서 소상인 및 실수요자에게 판매하는 가격입니다.
● 농산물 특성상 크기와 색상 등이 다양하고 저장기간, 기후변화에 따라 동일 등급에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평년은 5년간(금년 제외) 해당일에 대한 최고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년 평균값.
● 조사단위가 중량이 아닌 품목(포기, 개, 마리 등)은 kg 단위 환산이 제공되지 않음.
● 본 가격자료는 전국 주요 시장에서 조사된 도소매 평균가격으로 개별 판매처 및 산지, 브랜드, 규격 등에 따라 가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실거래에 있어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2018.1.8일 부터 깐마늘(국산)은 대서종과 남도종 구분조사·제공합니다. (이전 깐마늘가격은 품종 혼합가격임)2020.6.23일 부터 난지형 피마늘은 대서종과 남도종 구분조사·제공합니다. (이전 난지형 피마늘 가격은 품종 혼합가격임)
(중도매인 판매가격 - 기간별) 채소류 / 파프리카 / 파프리카,   등급 : 상품,   단위 : 5kg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5 2024 2023 2022
1월 40,278 39,293 37,535 34,616
2월 40,530 44,822 39,705 35,579
3월 38,212 45,114 37,257 27,434
4월 33,201 36,195 28,599 22,730
5월 - 23,009 26,207 23,285
6월 - 19,091 22,665 16,174
7월 - 14,935 18,024 18,668
8월 - 33,944 28,740 40,206
9월 - 47,771 38,934 51,805
10월 - 39,222 34,351 29,746
11월 - 31,014 20,688 17,372
12월 - 34,854 23,336 21,363
연평균 38,060 33,813 29,544 28,078

품목별 소매가격

이용안내

대형마트, 전통시장 등에서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가격입니다.
● 농산물 특성상 크기와 색상 등이 다양하고 저장기간, 기후변화에 따라 동일 등급에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평년은 5년간(금년 제외) 해당일에 대한 최고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년 평균값.
● 경동, 영등포, 부전, 동구, 현대, 양동, 역전, 지동, 중앙, 육거리, 남부, 상남, 신정, 동문시장은 전통시장임.
● 조사단위가 중량이 아닌 품목(포기, 개, 마리 등)은 kg 단위 환산이 제공되지 않음.
● 본 가격자료는 전국 주요 시장에서 조사된 도소매 평균가격으로 개별 판매처 및 산지, 브랜드, 규격 등에 따라 가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실거래에 있어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22.4.4부터 축산물 소매가격은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소매가격 - 기간별) 채소류 / 파프리카 / 파프리카,   등급 : 상품,   단위 : 200g
(단위 : 원) 데이터저장
구분 2025 2024 2023 2022
1월 2,039 2,095 2,021 1,882
2월 2,307 2,578 2,349 2,113
3월 2,142 2,195 2,128 1,820
4월 1,999 1,935 1,828 1,535
5월 - 1,473 1,615 1,520
6월 - 1,365 1,493 1,364
7월 - 1,267 1,346 1,349
8월 - 1,798 1,727 2,052
9월 - 2,443 2,196 2,510
10월 - 2,281 2,001 2,054
11월 - 1,994 1,692 1,567
12월 - 1,916 1,478 1,433
연평균 2,125 1,933 1,821 1,758

일일동향

(중도매거래) 채소류/ 파프리카/ 파프리카, 2025-04-11, 대구지역

작성자 : 서인지 조사원

    ● 경남 진주, 창녕 지역에서 주로 반입됨
    ● 출하량 증가에 따른 시장 내 물량 풍부해지며 가격 내림세
    ● 도매가격 5kg 기준 상품 32,00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생산량 증가 예상되어 약보합세 전망

(소매거래) 채소류/ 파프리카/ 파프리카, 2025-04-21, 부산지역

작성자 : 윤현우 조사원

    ● 경남 함안, 진주, 의령지역에서 주로 출하됨
    ● 고가형성과 소비 비수기로 시장내 거래는 한산하나, 산지 기온상승과 생산량 증가로 약보합세
    ● 전통시장 소매가격은 200g당 전주대비 50원 내린 상품 1,810원 중품 1,230원선에 거래됨
    ● 향후에는 5월 연휴에 따른 소비 증가로 강보합세 전망

(소매거래) 채소류/ 파프리카/ 파프리카, 2025-04-11, 광주지역

작성자 : 박지혜 조사원

    ● 전남 화순, 경남 진주, 김해, 창녕 등에서 반입됨
    ● 최근 일조량 증가로 인한 생육호조로 출하량이 늘어나면서 내림세로 거래됨
    ● 소매시장에서 200g 기준 상품이 1,830원, 중품은 1,330원 선에 거래됨
    ● 향후에도 기상 호전으로 출하물량이 연일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약보합세 전망

(소매거래) 채소류/ 파프리카/ 파프리카, 2025-04-10, 대전지역

작성자 : 황선실 조사원

    ● 경남 진주, 합천, 함안 / 전북 완주에서 주 출하됨
    ● 주산지(경남 진주 등) 고온 피해로 지연되었던 생육이 회복되어 출하량 증가 추세임
    ● 소매가격 200g 기준 상품 1개는 2,000원에 거래되며 상품성 좋아짐
    ● 생육기 일조량 충분하고 기온 상승으로 작황 양호하여 향후 가격 약보합세 전망

유통단계별 거래형태

도매시장

- 주로 색깔별로 5kg 표준규격 골판지 상자 형태로 거래됨

 

전통(소매)시장

- 색깔별로 혼합하여 판매되며, 일부는 비닐 소포장 형태로 거래됨

- 4~5개 들이 비닐 소포장 형태로 주 판매됨

 

대형마트

- 다양한 소포장 형태 또는 벌크 형태로 거래됨

- 주로 200g, 300g, 500g 등 다양한 소포장형태 또는 벌크 형태로 거래됨

주요 반입되는 지역

파프리카 출하지역 (가락동 농수산물시장)

- 주 출하도 : ① 강원도 ② 경상남도 ③ 전라남도

-시·군 : ① 강원 철원군 ② 경남 진주시 ③ 강원 화천군

- 총 반입량 중 3개도에서 78.88% 점유, 3개 시군에서 50.48%가 출하됨

 

※ 출처 :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서울시 가락동 도매시장 월별 반입량(‘15년도 기준)

1 2 3 4 5 6 7 8 9 10 11 12
반입량(톤) 1,560 1,804 1,891 2,527 2,505 3,400 3,933 2,884 1,969 3,056 2,356 2,145 30,029

※ 출처 :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월별 주요 출하지역(‘15년도 기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순위 지역 경남
진주
경남
진주
경남
진주
경남
진주
경남
진주
경남
진주
강원
철원
강원
철원
강원
철원
강원
철원
강원
철원
경남
진주
2순위 지역 전남
강진
전남
강진
전남
강진
전남
강진
전남
강진
강원
화천
강원
화천
강원
화천
강원
화천
강원
화천
강원
화천
강원
철원

※ 출처 :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최근 3개년 생산량 추이(전국)

※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전국 지역별 파프리카 생산량(‘15년도 기준)

※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파프리카 재배작형

※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주산지 현황(경남 진주)(2017년)

- 주산지 현황(경남 진주시)

- 경남 진주시 대곡면 일원의 파프리카(시설) 재배 단지로 연평균 3천톤 정도를 생산하며, 전량 계통출하를 통해 내수, 수출 비율을 7:3 정도로 출하함

- 대곡농협 생산농가의 경우 타 작물에 비해 소득이 높아 파프리카 생산면적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임

※ 출처 : 대곡농협

- 대곡 농협 연간 생산량

※ 출처 : 대곡농협

- 대곡 농협 연간 수출물량

- 수출 물량의 95% 정도는 일본으로 수출하며, 그 외 홍콩으로 5% 정도를 수출함

※ 출처 : 대곡농협

- 재배에서 출하까지(경남 진주)(2017년)

 

- 진주 대곡 농협 파프리카 색깔별 포장 Box

 

서울 가락동 도매시장 월별 반입량(톤)

- 시기별 출하비율 : 주로 동절기보다는 하절기(5~8월)부터 주로 거래량이 증가

- 여름철 주로 거래량이 가장 많으며, 연중 시설재배하는 작목이기 때문에 생육 및 작황이 거래동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음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반입량 1,560 1,804 1,891 2,527 2,505 3,400 3,933 2,884 1,969 3,056 2,356 2,145 30,029

 

최근 3개년 재배면적 및 생산량 (전국)

※ 자료 : 농림축산식품부

- 지역별 파프리카 생산량

※ 자료 : 농림축산식품부 (2014년 기준)

- 재배작형

※ 자료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재배에서 출하까지(경남 진주)(2016년)

 

- 최근 3개년 재배면적 및 생산량 (전국)

※ 자료 : 농림축산식품부

- 지역별 파프리카 생산량 비교

※ 자료 : 농림축산식품부 (2011년 기준)

- 재배작형(경남 진주)(2014년)

※ 자료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재배에서 출하까지

표준규격 출하율

부류별
표준규격포장 출하율(%) 데이터저장
구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전체 73.6 75.7 76.5 76.8 77.2 80.5 84.5 85.3 84.2 80.6
과일류 98.5 95.4 94.1 96.8 97.2 97.5 97.2 98.2 98.1 94.4
과채류 78.4 72.7 68.8 74.4 75.4 80.1 85.2 87.8 78.0 79.5
양념류 26.6 29.4 38.6 55.9 70.0 70.0 71.3 71.5 71.0 66.0
엽근채류 74.1 78.3 78.9 76.8 63.6 73.5 79.8 78.5 83.9 78.3
서 류 95.4 96.7 93.7 93.7 96.6 97.1 98.4 99.5 95.6 88.4
화훼류 82.9 85.0 88.2 84.9 87.5 88.2 91.2 92.3 92.9 96.4
품목별
표준규격포장 출하율(%) 데이터저장
구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사 과 99.0 99.0 94.5 95.5 97.2 98.8 97.0 96.4 97.0 82.6
97.8 98.5 98.7 95.6 89.1 92.7 96.2 99.7 99.3 99.0
단 감 98.2 98.7 99.5 99.6 99.9 100.0 99.5 99.6 97.7 98.9
감 귤 99.0 87.8 88.6 98.6 99.1 98.2 96.1 97.1 98.9 99.8
복숭아 99.3 100.0 100.0 98.6 99.6 100.0 98.2 99.2 96.9 98.3
자 두 92.0 91.7 93.7 100.0 97.0 99.8 100.0 100.0 99.7 99.7
포 도 97.9 98.5 95.7 94.5 98.9 97.7 99.2 99.6 98.5 97.3
참다래 94.9 97.2 80.7 78.8 93.7 92.1 100.0 100.0 100.0 96.4
풋고추 98.7 99.6 100.0 98.2 99.2 96.8 98.2 99.4 99.8 99.9
오 이 91.8 93.7 94.8 91.7 98.2 96.9 92.4 83.2 90.8 81.4
호 박 93.3 95.1 94.3 96.1 97.8 95.9 92.8 98.0 89.4 83.9
가 지 92.5 94.7 87.5 72.3 95.5 91.1 94.9 99.8 96.4 88.6
토마토 99.1 99.4 97.0 98.9 99.8 98.0 98.9 100.0 94.8 95.2
방울토마토 98.2 100.0 96.0 96.7 88.9 99.4 97.8 99.4 98.7 96.1
참외 98.9 99.9 98.0 97.8 96.9 99.3 100.0 100.0 100.0 99.4
딸기 72.8 71.7 79.7 76.3 64.1 72.7 95.2 97.2 90.1 79.2
수박 12.7 7.9 9.0 1.8 12.0 9.6 12.8 6.6 2.6 10.0
조롱수박 100.0 100.0 100.0 50.0 - - - - - -
메 론 95.4 96.8 93.0 94.6 98.9 91.9 99.6 100.0 89.7 98.3
피 망 98.3 99.0 98.8 99.1 99.8 100.0 99.7 99.7 99.9 95.3
건고추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양 파 29.2 34.0 52.3 71.4 91.8 95.1 96.1 95.9 99.2 96.6
마 늘 85.0 91.7 76.7 58.8 73.1 84.3 93.6 100.0 97.2 95.2
대 파 0.2 0.3 0.0 0.0 0.0 0.0 0.0 0.3 0.2 0.2
쪽 파 28.7 25.6 19.9 24.5 18.4 39.2 29.4 21.6 5.6 17.9
81.2 89.4 90.3 86.6 97.1 97.5 97.4 98.9 95.8 94.7
열 무 41.1 34.1 28.7 25.0 38.8 47.1 38.2 23.6 8.8 -
총각무 0.0 0.0 0.0 0.0 0.0 0.2 2.4 0.0 0.0 0.4
배 추 69.0 72.4 67.4 71.2 42.1 73.5 76.0 74.0 94.3 87.0
얼갈이배추 41.3 45.7 50.4 43.1 43.4 56.6 62.2 61.2 43.6 -
양배추 98.0 97.4 92.7 88.5 20.1 57.8 70.0 83.7 84.5 78.4
당 근 87.9 79.8 60.5 76.4 96.9 97.7 98.1 98.9 95.3 89.9
시금치 54.4 52.5 58.4 55.1 83.1 72.2 66.3 48.8 72.4 77.0
상 추 93.5 95.3 82.8 85.9 97.6 96.4 94.5 95.8 97.6 78.0
깻 잎 78.8 70.1 62.5 71.9 85.7 83.0 83.2 92.5 85.6 73.4
부 추 40.2 51.6 61.7 50.3 16.2 34.5 34.8 15.9 38.8 27.6
쑥 갓 78.7 85.3 89.0 92.6 96.9 99.4 98.8 100.0 92.5 94.7
미나리 56.1 45.8 51.5 52.6 40.2 49.7 47.8 25.3 14.9 6.7
감 자 99.1 99.9 95.4 96.2 98.3 100.0 99.1 100.0 99.5 94.7
고구마 80.9 85.9 89.4 87.2 92.4 89.7 96.4 98.1 86.3 82.8
국 화 79.8 82.1 86.7 82.6 86.5 86.5 88.2 89.4 90.6 96.0
카네이션 95.3 98.2 98.7 91.1 94.5 94.8 96.6 99.0 97.7 99.3
장 미 86.7 88.4 88.3 89.1 91.6 92.6 96.9 97.5 98.3 97.3
백 합 87.7 87.5 88.4 88.3 81.1 81.2 90.7 93.6 92.9 93.4
글라디올라스 78.1 67.1 71.8 68.5 69.0 73.7 79.7 92.1 85.9 88.0
거베라 98.8 99.1 99.6 93.6 92.3 98.5 91.2 99.3 98.2 99.5

포장화율

부류별
포장화율(%) 데이터저장
구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전체 92.9 92.4 94.6 93.8 91.8 92.0 93.0 93.2 92.0 92.1
과일류 100.0 100.0 100.0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과채류 85.3 76.6 78.5 84.4 83.2 84.3 89.2 92.1 88.2 93.0
양념류 75.4 76.9 74.5 81.6 84.0 82.3 82.5 82.0 80.9 72.5
엽근채류 95.5 97.0 98.9 96.3 93.1 94.1 94.0 93.0 93.3 96.3
서 류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화훼류 99.7 100.0 100.0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품목별
포장화율(%) 데이터저장
구분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사 과 100.0 100.0 100.0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단 감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감 귤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복숭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 두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포 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참다래 100.0 100.0 100.0 100.0 97.1 100.0 100.0 100.0 100.0 100.0
풋고추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오 이 100.0 100.0 100.0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호 박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가 지 100.0 100.0 100.0 100.0 100.0 - 100.0 100.0 100.0 100.0
토마토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방울토마토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참 외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딸 기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99.4
수 박 22.3 9.6 29.0 24.8 31.1 11.1 17.6 19.0 32.6 45.6
조롱수박 100.0 100.0 100.0 100.0 - - - - - -
메 론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피 망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건고추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양 파 96.3 99.1 97.5 99.8 100.0 100.0 99.7 100.0 99.9 100.0
마 늘 100.0 100.0 99.0 100.0 100.0 96.1 99.1 100.0 98.1 100.0
대 파 0.2 0.6 8.3 6.2 19.5 7.5 2.1 6.4 11.1 4.1
쪽 파 38.0 35.0 56.8 54.5 34.5 66.0 53.2 36.0 39.7 35.7
배 추 100.0 100.0 100.0 100.0 99.7 100.0 100.0 100.0 100.0 100.0
얼갈이배추 68.2 76.7 90.7 84.3 90.2 85.2 84.2 90.3 98.3 -
양배추 99.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93.0 95.9 99.8 94.4 98.8 98.4 97.7 99.7 96.9 99.1
열 무 69.4 77.7 77.5 76.2 57.3 82.2 78.6 73.2 75.2 -
총각무 0.0 0.0 32.4 31.7 1.1 6.4 2.4 1.1 20.7 4.9
당 근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시금치 98.1 99.6 99.5 98.0 93.5 91.2 90.6 88.4 99.6 93.8
상추 99.8 100.0 99.8 99.2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깻 잎 100.0 100.0 100.0 100.0 100.0 99.9 100.0 99.2 99.6 99.7
부 추 96.2 98.5 92.5 74.2 41.5 59.7 44.3 22.0 54.1 96.8
쑥 갓 97.7 100.0 99.8 99.8 99.6 100.0 100.0 100.0 98.5 99.1
미나리 93.0 91.3 94.7 91.6 94.8 95.6 85.1 75.9 84.9 92.3
감 자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고구마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국 화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카네이션 100.0 100.0 100.0 96.6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장 미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백 합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글라디올라스 78.1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거베라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품목별 유통실태

품목별 유통실태 정보 - 번호, 품목, 연도, 관련자료로 구성
번호 품목 연도 관련자료

파프리카 고르는 법

파프리카는 꼭지가 선명한 색을 띠며, 꼭지 부분이 마르지 않고 흠집이 없어야 한다.

 

- 파프리카는 꼭지가 선명한 색을 띠며, 꼭지 부분이 마르지 않고 흠집이 없어야고 싱싱하며 종모양이여야 한다.

- 오래된 것은 꼭지 부분부터 부패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표피가 두껍고 광택이 나며, 과육이 단단하고 과육의 색이 선명한 것이 신선한 것이다.

- 과육이 단단하지 않으면 숙성 시기를 놓쳤거나 오래된 것이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 비닐하우스 재배 상품은 껍질이 얇고 과육이 부드럽고, 광택이 나고 두꺼운것이 아삭거리는 맛이 좋으며 당도도 높다.

- 색깔이 선명한지 확인해야한다.

- 착색이 덜 되어 색깔이 선명하지 않다면 덜 익었거나 병충해 피해를 입은 것이다.

- 뒤틀렸거나 통통한 모양이 아닌 것도 좋지 않은 것이다.

 

파프리카 용도에 따라 구입하는 팁

- 파프리카를 뒤집어 보았을 때 봉우리가 4쪽으로 갈라진 것과 3쪽으로 갈라진 것이 있음

- 4쪽으로 갈라진 파프리카 : 단 맛이 많이 나 샐러드로 먹기 좋음

- 3쪽으로 갈라진 파프리카 : 단단해서 볶음용으로 좋음

 

장보기 Tip

 

파프리카 손질법

- 물로 씻어 불순물과 먼지 등을 제거한 뒤 씨를 제거해준다.

- 파프리카를 손질할 때는 물로 씻어 불순물과 먼지 등을 제거한 뒤 씨를 제거해준다.

- 동그란 모양을 살리기 위해서는 반으로 가르지 않은 채 통으로 씨를 제거해야 하는데, 꼭지를 잘 잡은 후 엄지손가락을 이용해 꼭지 안쪽으로 꾹 눌러준 후 비틀어 잡아 빼면 간편하게 씨를 제거할 수 있다.

- 채를 썰 때는 반으로 가른 뒤 씨와 심지를 제거하고 넓게 펴서 채를 썰면 된다.

※ 출처 : 부공 파프리카

파프리카 보관방법

-파프리카를 통으로 보관할 때는 꼭지 부분을 제거하지 말고 낱개로 랩에 싸서 보관한다

- 파프리카의 보관 적정 온도는 11℃~5℃가 적정보관 온도에 적합하다.

- 보관 적정 기간으로는 5일정도가 적당하다.

- 그리고 파프리카는 습도에 민감한 품목으로 습도가 낮을수록 신선도가 급격히 감소된다.

- 파프리카를 통으로 보관할 때는 꼭지 부분을 제거하지 말고 낱개로 랩에 싸서 보관한다.

- 김치냉장고에 보관하면 수분 손실이 적고 식감 역시 오랫동안 지속되면서 오래 보관할 수 있다.

- 너무 낮은 온도에서는 파프리카의 과육에 반점이 생기거나, 내부의 씨가 변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 손질해서 보관할 때는 채를 썰어 키친타월로 물기를 제거한 후 밀폐 용기에 담아 보관하면 된다.

- 이때 자른 파프리카에서 수분이 나올 수 있으므로 키친타월로 감싸서 보관하면 좋다.

※ 출처 : 농업회사법인 ㈜농산

파프리카 활용방법


이런 효능이

효능

내용

성장촉진

칼슘과 인이 풍부해 성장기 어린이들과 성인들의 골다공증 예방에 좋음

성인병 예방 및 노화예방

항암식품으로도 손색이 없는데, 암을 예방하는 베타카로틴이 다량 함유되어 주스나 녹즙으로 섭취함

스트레스를 해소

비타민이 풍부해서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됨

혈액순환을 원활

고혈압, 심근경색, 뇌경색을 예방해 줌

다이어트에 효과

열량이 낮고 섬유질이 많아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좋음

관절염 예방

황산화제인 베타크립토산틴과 베타카로틴이 관절염을 예방

피부미용 및 기미, 주근깨 예방

베타카로틴 성분이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피부를 윤택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주름살 감소에도 좋음, 100g당 비타민C 함량이 375㎎으로 같은 분량 피망의 2배, 딸기의 4배, 시금치의 5배 수준으로 멜라민 색소의 생성을 방해함으로써, 기미, 주근깨 예방에 도움을 줌

 

파프리카의 색깔별 특징 및 효능

- 파프리카는 비타민이 풍부해 감기 예방과 항산화 작용에 효과적이다.

- 채소와 과일을 통틀어 비타민이 으뜸이라고 할 수 있는데, 100g당 비타민C 함유량이 130mg으로 동량의 레몬보다도 2배가량 많다.

- 이러한 비타민은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며, 풍부한 베타카로틴은 항암 효과와 더불어 성인병과 노화를 예방해 준다.

- 또한 칼슘과 인이 풍부해 성장기 어린이들과 성인들의 골다공증 예방에 좋으며, 열량이 낮고 섬유질이 많아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좋다.

 

색깔별 특징 및 효능

※ 출처 : 부공 파프리카, 파프리카 월드

이런 영양이

※ 출처 : 농촌진흥청 농식품종합정보시스템_식품성분표

미디어







2015년 04월 11일자 SBS 토요특집 출발! 모닝와이드 알뜰장보기 방영



2013년 06월 15일자 SBS 토요특집 출발! 모닝와이드 알뜰장보기 방영

이미지

데이터가 없습니다.



동영상

데이터가 없습니다.

로그인하시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로그인